• 생태기반연구실/ 2019.08

    벌의 중요성과 수분서비스의 가치

    오래전부터 사람들에게 가장 친숙한 곤충인 꿀벌은 인간에게 꿀과 밀랍, 프로폴리스, 로얄젤리 등을 제공하지만, 가장 중요한 기능은 화분 매개입니다. 우리나라 주요 작물 중 75종 중 39종(52%)에 해당하는 사과, 딸기, 고추 등의 작물이 곤충의 화분매개(꿀벌 80%)에 의존하고, 특용작물과 원예종자, 의약품 생산 역시 꿀벌을 활용한 화분매개의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권혁수 연구원
  • 생태기반연구실/ 2018.11

    생태계서비스

    자연이 인간에게 제공하는 모든 혜택을 의미합니다. 생태계서비스는 생물다양성 감소와 생태계훼손을 인류의 복지와 연관하여 경제적 수치 및 시각적으로 보여주므로, 사람들에게 자연의 중요성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도구입니다. 생태계서비스는 크게 4가지(공급서비스, 조절서비스, 문화서비스, 지지서비스)로 구분됩니다.

    권혁수 연구원
  • 생태기반연구실/ 2018.11

    검은머리물떼새 행동생태연구

    검은머리물떼새는 개체수가 많은 유럽 아종(Haematopus ostralegus ssp. ostralegus)의 경우, 행동생태학적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개체군 보호를 위한 정보와 연구 기반이 축적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동아시아 아종(H. ostralegus ssp. osculans) 개체수가 가장 적어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으로 보호받고 있지만, 체계적인 분포조사와 생태연구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입니다.

    주성배 연구원
  • 생태기반연구실/ 2018.11

    장기생태연구의 필요성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환경교란 등으로 생태계 변화가 심화되고, 그 결과 곤충 다양성의 급격한 감소, 산림의 황폐화 등 대규모 재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진선덕 연구원
  • 생태기반연구실/ 2018.11

    멸종위기 개리의 월동생태 연구

    국내에는 겨울철새로 한강하구와 금강하구 일대에 도래하는데, 국내에 도래하는 개리 개체군은 러시아 아무르지역에서 번식하는 집단으로 추정되며, 최근 러시아 동부 아무르 지역과 몽골 번식지의 환경 변화와 불법적인 포획 등으로 인해 감소 추세에 있어 개체군 및 서식지 보호관리 방안이 시급합니다.

    주성배 연구원
  • 생태기반연구실/ 2018.11

    곤충의 공생미생물

    과거 미생물은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로 항생제로 제거해야 한다고 여겨졌으나, 최근 살아있는 숙주의 몸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매우 많이 공생한다는 것이 알려졌습니다.

    박소연 연구원
  • 생태기반연구실/ 2017.12

    박쥐연구방법 초음파 분석, 열감지카메라, 적외선카메라

    국립생태원은 박쥐 연구를 통하여 박쥐가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생태계 유지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김선숙 연구원
  • 생태기반연구실/ 2017.12

    볼바키아 (Wolbachia) 개미와 공생미생물의 진화

    볼바키아(Wolbachia)는 곤충에게서 발견되는 흔한 공생 박테리아입니다. 볼바키아는 약 75%의 곤충의 세포 내에 감염이 되어있으며, 최근 곤충의 암컷과 수컷의 성비를 조절한다는 것이 려졌습니다.

    박소연 연구원
  • 생태기반연구실/ 2017.12

    박쥐연구 오해와 편견-박쥐의 중요성

    박쥐들은 낮에는 동굴 등의 잠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휴식을 취하고, 밤이 오면 깨어나 어둠 속에서 빠르게 날아다니기 때문에 사람들의 일상생활 속에서는 쉽게 만날 수 없는 동물입니다.

    김선숙 연구원
  • 생태기반연구실/ 2017.12

    도심매미연구 - 여름의 소리 vs 소음

    매미는 시골 정취를 느끼게 해주는 정겨운 소리로 자주 표현되는 친근한 곤충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도심지역의 매미 수가 예전보다 증가하면서 매미 소리는 소음으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강재영 연구원
  • 생태기반연구실/ 2017.12

    배설물연구 똥이 말하다

    야생 동물들은 쉽게 볼 수도, 다가가기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이들의 서식지를 잘 살펴보면 이들이 남긴 ‘똥’은 비교적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주성배 연구원
  • 생태기반연구실/ 2017.12

    생물모방연구 - 생태학과 공학의 만남

    생태적인 특징을 모방하여 기술로 발전시켜 사람들의 삶과 환경에 도움이 되는 분야를 생물모방이라고 합니다.

    이은옥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