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연구본부 / 2017.12

도심매미연구

여름의 소리 vs 소음

여름의 도심 불청객 매미?

나무 수액만을 먹으며, 남을 해하지 않고, 오랫동안 땅속에서 인내하고 나와 강렬하고 짧은 생을 마치는 매미의 모습에 옛 선인들은 매미를 덕이 많은 곤충이라 예찬하였습니다. 또한, 매미는 시골 정취를 느끼게 해주는 정겨운 소리로 자주 표현되는 친근한 곤충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도심지역의 매미 수가 예전보다 증가하면서 매미 소리는 소음으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시끄럽게 울어대는 소리 때문에 잠을 자기 힘들다는 민원도 발생하며, 매미는 여름의 도심 불청객으로 인식이 바뀌어 버렸습니다.

왜 하필 도심에 많은까?

도심에서 매미 연구를 하다 보면 어르신들이 ‘예전에는 매미가 이렇게 많지 않았는데 요즘에는 왜 이렇게 많은지 모르겠어!’ 라고 말씀하시는 것을 자주 듣습니다. 실제로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매미 중 가장 흔한 말매미와 참매미가 경기도 교외 지역보다 도심에 각각 9.5배, 2.5배 높게 나타난다고 합니다(Kim et al., 2014). 본 연구에서는, 도심 환경특성인 도심 내에서의 서식지 유형(도심형 공원, 주거 지역, 산림형 공원), 도심 기후(미소기후, 토양온도, 기상요인), 환경특성(고도, 토양 유기물, 낙엽량 등)과 매미 발생과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였습니다. 도시에서 볼 수 있는 매미 여섯 종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 전체적으로 매미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점에서 발생량이 많았습니다. 특히, 가장 소리가 큰 말매미의 경우, 도심 비율이 높고, 고도가 낮을수록 많았습니다. 반면, 애매미는 도심 내에서도 산림형 특성을 보이는 곳에 가장 많으며, 참매미와 유지매미는 기상 및 토양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서의 발생량이 많았습니다. 따라서, 도심 내에서도 여러 환경특성에 따라 매미 종별 구성이나 발생량의 차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현재 도심 내에서의 서식 환경 차이는 매우 낮은 편(높은 온도, 파편화)이며, 이는 특정 종(예: 말매미)의 증가를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도심 공원 및 서식지에서의 다양한 환경조성 및 종다양도를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소음으로 인한 문제 해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말매미 울음소리
참매미 울음소리
말매미는 ‘낮’에 합창, 참매미는 ‘새벽’에 합창

수적으로도 우세한 말매미와 참매미는 다른 종에 비해 노래도 가장 열심 히 노래를 합니다. 매미 소리가 유난히 크게 느껴지는 이유는 많은 매미가 동시에 지속적으로 노래(합창)를 하기 때문입니다. 매미가 합창하는 이유는 경쟁자보다 더 크게 울어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한꺼번에 울면 포식자로부터 위협을 받을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신기하게도 말매미는 약 27도 이상인 높은 온도에서 합창하고, 참매미는 약 27도 이하인 아침이나 밤에 합창을 많이 합니다.

알고보면 소중한 존재 ‘매미’

매미는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중한 곤충입니다. 매미가 성충이 되기 위하여, 땅 밖으로 나올 때 생긴 구멍은 토양에 공기와 물이 잘 순환하게 하여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고, 다른 주요 포식 동물들(새, 벌, 개미 등)의 풍부한 먹이원이 되며, 매미 탈피각과 사체는 토양에 영양을 공급합니다. 특히, 매미는 도시화 및 도심 기후와 같은 여러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은 곤충으로서, 기후변화 및 도심생태 변화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립생태원은 인간과 매미가 잘 공존할 수 있도록 도심 서식지의 효율적인 관리 및 매미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하여 다양한 연구, 교육, 컨텐츠 개발 등을 통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참고문헌

국립생태원. 2015. 사회성동물의 행동생태 연구(II). 국립생태원. 63pp.
국립생태원. 2016. 생태계 공존을 위한 야생동물 개체군 연구. 국립생태원. 207pp.
Kang JY. 2014. Chorus dynamics and acoustic interaction in the multi-species cicada.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Kim TE, Oh SY, Chang E, Jang Y. 2014. Host availability hypothesis: complex interactions with abiotic factors and predators may best explain population densities of cicada species. Animal Cells and Systems 18: 143-153.